2025년 5월 28일 네이버 클라우드(개인/일반 기업용, 공공 기관용, 금융 기관용) 공지사항에
"AI NAVER API의 Maps API 무료 이용량 제공 중단"에 관한 공지가 올라와 있어 관련내용을 정리해 본다.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AI NAVER API 상품의 Maps API 서비스는 그동안 매달 일정량의 무료이용량이 제공됐으나, 2025년 7월 1일을 기점으로 100% 유료로 전환된다.
(Mobile Dynamic Map, Web Dynamic Map, Static Map, Geocoding, Reverse Geocoding, Directions5, Directions15)
2. AI NAVER API 상품의 Maps API 서비스는 점진적으로 종료될 예정이다.
AI NAVER API 상품의 Maps는 앞으로 종료될 예정이며, 개인/일반 기업용, 공공 기관용, 금융 기관용 클라우드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정확한 종료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으나, 종료일 확정시 수개월 전 별도 공지)
이는 2025년 3월 20일에 새롭게 출시된 Application Services 상품의 Maps로 유입시키려는 전략이 아닐까 생각된다.
(Application Services 상품의 Maps는 매달 일정량의 무료이용량이 제공됨)
API 가이드도 보면 Application Services 상품의 Maps와 달리 기존 AI NAVER API 상품의 Maps에는 벌써 "사용하지 않음"(deprecated)으로 표기돼 있다.
Maps API 가이드에도 변화가 있는데, 기존 서비스(AI NAVER API 상품의 Maps)중단 관련 안내 내용이 추가되었고,
클라우드 (개인/일반 기업용, 공공 기관용, 금융 기관용)에 따라 달랐던 클라이언트 아이디 호출방식도 신규 서비스(Application Services 상품의 Maps)의 호출방식으로 유도하고 있다.
AI NAVER API 상품의 Maps | Application Services 상품의 Maps | ||
개인/일반 기업용 | 공공 기관용 | 금융 기관용 | 개인/일반 기업용 |
ncpClientId | govClientId | finClientId | ncpKeyId |
애매한 점은 Application Services 상품의 Maps는 공공 기관용과 금융 기관용 클라우드에서는 제공되고 있지 않아서 AI NAVER API 상품의 Maps 서비스 종료 시, 공공이나 금융 기관용 클라우드를 이용하다가 지도사용만을 위해 개인/일반 기업용 클라우드 계정을 별도로 생성해 병행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생기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 할거 같다.
[네이버 지도] 로컬환경(localhost)에서 NAVER 지도 API v3 사용 하기
[네이버 지도] NAVER 지도의 출력 언어 변경하기 + 예제
[네이버 지도] NAVER 지도에 마커(Marker) 표시하기 (단일,다중마커) + 예제
[네이버 지도] NAVER 지도 이미지를 마커(Marker)로 사용하기 + 예제
[네이버 지도] AI NAVER API - Maps(지도) 무료 이용량 제공 중단 관련
[네이버 지도] Application Services 상품의 Maps API 사용 방법
참조
AI NAVER API ▶ 지도 API 무료 이용량 제공 중단 예정 안내 (개인/일반 기업용)
https://www.ncloud.com/support/notice/all/1965
AI NAVER API ▶ 지도 API 무료 이용량 제공 중단 예정 안내 (공공 기관용)
https://www.gov-ncloud.com/support/notice/all/528
AI NAVER API ▶ 지도 API 무료 이용량 제공 중단 예정 안내 (금융 기관용)
https://www.fin-ncloud.com/support/notice/all/1644
글 내용 중 잘못된 부분이 있거나, 첨부하실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 기억의 유효기간은 생각보다 짧다. --
'IT 기타 > IT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시스템 개선 관련 용어(개비, 고도화, 리뉴얼, 차세대)의 구분 (2) | 2025.01.02 |
---|---|
라이브러리(Library) / 프레임워크(Framework)의 차이점 (1) | 2023.05.09 |
구글(Gmail) SMTP 서버 이용시 '잘못된 비밀번호' 오류 해결법 (2) | 2023.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