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indow.open() 메서드와 location.herf 속성은 둘 다 JavaScript에서 웹 페이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지만 아래와 같은 차이점이 있다.
차이점 | window.open() 메서드 | location.href 속성 |
객체 | 최상위 객체의 메서드 (※1) | 하위 객체의 속성 (※1) |
목적 | 새로운 브라우저 창이나 탭을 열 때 주로 사용 (※2) | 현재 창의 URL을 변경하여 페이지를 이동하거나 새로고침할 때 주로 사용 |
특징 | 새로 열리는 창의 JavaScript 객체에 대한 참조를 반환 | 브라우저의 이동 히스토리를 관리 |
※1
window는 최상위 객체이고 브라우저 객체 모델(BOM)과 문서 객체 모델(DOM)으로 나뉜다.
location은 브라우저 객체 모델(BOM)의 하위 객체중 하나이다.
window | ||||
BOM(Browser Object Model) | DOM(Document Object Model) | |||
location | navigator | history | screen | document |
※2
window.open 함수의 두 번째 매개변수에는 타겟(target)이 지정되는데 _self를 사용하면 현재 창에서 열 수는 있다.
참조
Window: open() method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Window/open
Location: href property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API/Location/href
글 내용 중 잘못된 부분이 있거나, 첨부하실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 기억의 유효기간은 생각보다 짧다. --
반응형
'언어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지도] NAVER 지도의 출력 언어 변경하기 + 예제 (5) | 2024.09.11 |
---|---|
[네이버 지도] NAVER 지도 생성하기 + 예제 (2) | 2024.09.11 |
[네이버 지도] 로컬환경(localhost)에서 NAVER 지도 API v3 사용 하기 (2) | 2024.09.10 |
TOAST UI Editor 화면에 적용하기 + 예제 (0) | 2024.09.03 |
카카오(Daum) 우편번호 API 적용 방법 + 예제 (0) | 2024.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