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OSA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에는 소프트웨어기술자 경력관리시스템이 있고, KICA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도 온라인경력신고시스템 이라는 것이 있는데 두 협회의 경력관리 시스템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두 시스템 모두 개인의 경력 관리 및 인증을 담당하지만, 각각 대상과 활용 목적에 있어 아래와 같은 차이가 있다.

  KOSA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 KICA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가입 대상 소프트웨어 관련 기업 및 개인 정보통신공사업체 등록된 업체 및 소속 기술자 
경력 인정 범위 소프트웨어 분야 경력 전반, 프리랜서 포함 정보통신공사업체에서 수행한 공사업무 경력만 인정 (※1)
법적 근거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정보통신공사업법
해외 경력 인정 근무 경력만 인정 (단, 증빙 필요)
기술 경력은 인정 안됨
인정 안됨 (※2)
경력 활용 SW 프로젝트 참여, 기술자 등급 인증, 공공 사업 입찰 등 정보통신공사 입찰, 법적 기술자 검증, 현장 투입 자격 확인 등

※1: 정보통신공사업체에서 수행한 공사업무 경력만 공식적으로 인정되기 때문에, 경력 인정 범위가 KOSA에 비해 적을 수 있다.

※2: KICA가 관리하는 경력 인정은 국내 정보통신공사업체 등록 내역과 관련된 경력에 한정되기 때문에 해외에서 수행한 경력은 원칙적으로 국내 KICA 시스템에서 직접 인정되지 않는다.

 

참조
KICA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https://career.kica.or.kr/
KOSA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
https://career.sw.or.kr/
KICA 업무안내
https://career.kica.or.kr/intro/info/
KOSA 기술자 정의
https://career.sw.or.kr/gif/gif02.jhtml

 


글 내용 중 잘못된 부분이 있거나, 첨부하실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 기억의 유효기간은 생각보다 짧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