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Beaver는 데이터베이스에 변경 사항을 적용하기 위한 두 가지 커밋 모드가 지원된다.

 

 

◆ 자동 커밋 모드 (Auto-Commit Mode)


자동 커밋은 사용자가 변경한 모든 내용을 즉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한다.

 

1. 모드선택버튼 클릭

 

 

2. Auto-Commit 선택

 

3. 변경확인

도구모음의 커밋, 롤백 버튼 : 비활성화

도구모음의 통계 필드 값 : "Auto" 표시

 

 

◆ 수동 커밋 모드 (Manual Commit Mode)


수동 커밋은 데이터베이스에 변경 사항을 커밋하거나 롤백하기 전에 사용자가 확인해야 한다.

 

1. 모드선택버튼 클릭

 

2. Manual Commit (Repeatable read) 선택

 

3. 변경확인

도구모음의 커밋, 롤백 버튼 : 활성화

도구모음의 통계 필드 값 : 수정 명령문이 작성되지 않은 경우는 "None" 표시, 수정 명령문이 있는경우는 수정 명령문의 수 표시

 

 

참조
Auto and manual commit modes
https://dbeaver.com/docs/dbeaver/Auto-and-Manual-Commit-Modes/

글 내용 중 잘못된 부분이 있거나, 첨부하실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 기억의 유효기간은 생각보다 짧다. --

 

반응형